[신간] 중견국 외교의 세계정치: 글로벌-지역-국내 삼중구조 속의 대응전략 (사회평론아카데미)

‘중견국 외교연구 3.0’

이제 단순한 지정학적 위치나 국력과 같은 외연적 속성을 넘어서 각 중견국이 지니고 있는 국내정치적 속성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글로벌 중견국으로서 한국의 역할을 탐구: ‘중견국 외교연구 1.0’

전형적인 지정학적 어젠다인 핵무기와 군사전략 분야에서 중견국 외교의 가능성을 타진: ‘중견국 외교연구 2.0’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되었다고 지적되었던 연구 어젠다는 중견국 외교의 국내적 기원이었다. 기존 국내 학계의 중견국 외교연구는, 중견국은 강대국이나 개도국과는 다른 국익론에 입각해야 된다는 정도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따라서 중견국 외교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리더십의 유형, 국가모델의 특징, 정치사회세력의 성격 등에 대한 탐구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수용하여 이 책은 글로벌-지역-국내의 삼중구조 속에서 전개되는 중견국 외교의 세계정치를 탐구한 12편의 논문을 담았다.

책의 구성과 내용

제1부 ‘글로벌 이슈구조 속의 중견국 외교 1.0’은 글로벌 외교의 장에서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의 국제규범 형성 과정에서 관찰된 중견국 외교의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제2부 ‘지정학적 지역구조 속의 중견국 외교 2.0’은 강대국들이 형성하는 지정학적 공간에서 살펴보아야 할 중견국 외교의 쟁점들을 분석하였다.

제3부 ‘국내정치 구조 속의 중견국 외교 3.0’은 중견국 외교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국내정치적 속성에 초점을 맞추어 사례 분석을 진행했다.

지은이

김상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신승휴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세계정치센터 조교
최종현 중앙대학교 접경인문학 연구단 HK연구교수
문용일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조교수
송태은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외교전략센터 연구교수
전재성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차태서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양종민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이승주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유재광 국회미래연구원 부연구위원(국제전략 담당)
최경준 제주대학교 사회교육과 조교수
장기영 경기대학교 국제관계학과 조교수

 내용출처http://cis.snu.ac.kr/sub5/5_2.php?mode=view&number=1374&b_name=gan2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